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현대·기아차, 네바다 주 자율주행 면허 획득…미래 자동차 시장 선도

반응형
▲ 네바다 주 DMV(교통국) 소장 로빈 알렌더와 현대·기아차 중앙연구소 임태원 상무(왼쪽부터)가 자율주행차량 면허 전달식을 갖고 기념 촬영하고 있다.

[메트로신문 양성운 기자] 현대·기아차가 국내 최초로 미국 네바다 주에서 고속도로 자율주행 면허를 획득했다. 

현대·기아차는 지난 11일 미국 네바다 주로부터 투싼 수소연료전지차와 쏘울 전기차 4개 차량에 대해 고속도로에서 자율주행을 시험할 수 있는 운행 면허를 획득했다고 14일 밝혔다. 미국 네바다 주는 다른 주의 자율주행 면허 발급 기준보다 기술 프리젠테이션과 실차테스트가 포함돼 더 엄격하기로 유명한 곳이다.

특히 투싼 수소연료전지차의 이번 면허 획득은 단순한 양산차 모델이 아닌 수소연료전지차 중 세계최초이다. 다양한 미래 자율주행 기술들을 탑재해 면허 획득에 성공한 것으로 미래 친환경 신기술 확보에 역량을 결집한 현대·기아차의 부단한 노력이 결실로 드러나는 부분이다. 

이번에 면허를 발급 받은 자율주행 차량에는 현대자동차그룹이 독자 개발에 성공한 ▲구간 자율주행 ▲교통 혼잡 구간 자율주행 ▲비상 갓길 자율 정차 ▲협로 주행 지원 등 지능형 고안전 자율주행 기술들이 탑재됐다. 현대·기아차는 이번에 면허를 취득한 자율주행 차량에 혼잡구간주행지원시스템(TJA)과 고속도로주행지원시스템(HDA)을 기반으로 다양한 센서 정보를 융합하고 판단, 제어 기술을 향상시켜 차선 변경이 가능토록 설계했다. 

▲ 네바다 주 DMV(교통국) 홍보담당 케빈 말로니, 네바다 주 DMV(교통국) 소장 로빈 알렌더, 현대·기아차 중앙연구소 임태원 상무, 현대·기아차 지능형안전연구팀 권형근 팀장(왼쪽부터)이 자율주행차량 면허 전달식을 가졌다.

외부에서 수집된 센서 정보를 바탕으로 주행상황을 판단하고 차량제어 기술은 파악된 교통흐름과 생성된 주행 경로를 바탕으로 차량을 부드럽고 정확하게 제어해 안전한 자율주행을 실현했다. 현대·기아차는 이번에 획득한 면허를 통해 실제 고속도로에서 자율주행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내년에는 신호등, 횡단보도, 보행자들이 포함된 도심지역으로 평가 범위를 확대해 선진 기술 확보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이번 기회를 계기로 우리의 자율주행 기술력을 확인하고 자율주행차에 대한 끊임없는 투자와 연구활동을 통해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해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기아차는 쏘울 자율주행 전기차를 내년 1월에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개최되는 가전전시회(CES)행사에 공개하고, 자율주행 주요 신기술과 기업의 미래 비전을 널리 알릴 계획이다. 현대·기아차는 이번 면허 획득을 계기로 지속적인 투자와 연구개발을 통해 2020년까지 고도자율주행, 2030년까지 완전 자율주행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