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3분기 한국경제가 0.7%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분기(1.2%) 이후 4분기 연속 0%대 저성장이다. 올 4분기에는 청탁금지법에 따른 소비위축 등이 본격 반영돼 한국경제의 저성장 기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올 3분기 GDP는 377조9524억원(계절조정계열 기준)으로 전 분기 대비 0.7% 성장했다. 전 분기 0.8%보다 0.1%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2.7%로 전 분기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 3.3% 대비 하락했다.
GDP는 지난해 4분기 0.7%, 올 1분기 0.5%, 2분기 0.8%를 기록하는 등 지난해 3분기(1.2%)를 제외하곤 지난 2014년 2분기(0.6%)부터 0%대 저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3분기 성장률은 삼성 갤럭시노트7 사태와 현대기아차 파업 등이 반영된 결과다.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와 소비증가세 둔화까지 겹쳐 저성장을 기록했다.
다만 민간소비 증가율은 0.5%로 전 분기 1.0% 대비 하락했다. 개별소비세 종료 영향으로 풀이된다. 설비투자는 -0.1%로 전 분기 2.8% 대비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수출은 반도체·화학제품 등이 늘면서 0.8% 증가했고 수입은 기계류·거주자 국외 소비 등을 중심으로 2.4%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1.0% 성장하며 전 분기 1.2% 대비 하락했다. 지난 2009년 1분기(-2.5%) 이후 7년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삼성 갤럭시노트7 사태와 현대기아차 파업 등으로 전기 및 전자기기와 운송장비 부문 업종이 하락한 영향이 컸다.
전기가스수도사업은 6.9% 성장했다. 지난 1999년 4분기(7.9%) 이후 16년 9개월 만에 최고치다. 올 여름 폭염으로 전력판매량이 급증한 보인다.
건설업 역시 4.4% 성장하며 전 분기 1.0% 대비 상승했다. 부동산 및 임대업 등이 늘면서 서비스업도 1.0% 성장했다.
3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0.3%로 전 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 감소했다.
한은 경제통계국 국민계정부 국민소득총괄팀 이관교 과장은 "국제유가 반등에 따른 일부 수입품 가격의 상대적 상승효과가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열한 공중전 펼치는 항공사들]1.대한항공-아시아나 양강체제 사라져 (0) | 2016.10.25 |
---|---|
당국, 3분기 공적자금 112.1조 회수…회수율 66.5% (0) | 2016.10.25 |
中企에 대한 국민 인식도 100점 만점에 54점…청년들은? (0) | 2016.10.25 |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고용창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중 가장 기본" (0) | 2016.10.25 |
11월 17일 수능, '출근' 늦춰지고 '대중교통' 배차 늘린다 (0) | 2016.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