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국민 4명 중 3명 '뉴스테이, 중산층 주거 안정에 도움될 것’

반응형

국민 4명 중 3명은 뉴스테이 정책이 중산층 주거안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했다. 2명 중 1명은 뉴스테이 정책을 알고 있었고 3명 중 1명은 뉴스테이에 입주를 희망했다. 

국토교통부는 한국갤럽이 '2016년 하반기 뉴스테이 정책 인식'에 대해 수도권 및 4대 광역시(부산, 대구, 광주, 대전)에 거주하는 1000명(30~50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2.7%가 뉴스테이 정책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고 11일 밝혔다.

▲ 뉴스테이 정책 인식 조사결과.

조사결과 정책 인지도는 49.8%, 호감도는 45.4%로 나타나 정책 도입 1년차였던 2015년에 비해 각각 21.6%p, 10.3%p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거주형태별로 볼 때 '임차'(53.5%) 가구가 '자가'(41.8%) 가구보다 호감도가 높고 임차가구 중에서는 '보증부 월세'(75.8%) 가구가 '전세'(50.4%) 가구보다 호감도가 높은 것으로 집계돼 뉴스테이 실수요 계층이 뉴스테이에 대한 호감도가 높았다. 

또한 뉴스테이의 각 특징에 대해서는 '양호한 입지여건'(79.1%), '희망할 경우 8년까지 장기 거주 가능'(78.2%)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이와 함께 뉴스테이 정책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응답자 254명에게 그 이유를 물어본 결과 '일반적으로 월세 거주를 선호하지 않아서'(54.7%)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고 뒤를 이어 '임대주택 자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 때문에'(19.7%)가 차지했다. 

아울러 응답자 10명 중 3명 정도가 뉴스테이 입주의향이 '있다'(31.0%)고 응답했다. 거주 형태별로 볼 때 '임차' 가구의 경우 뉴스테이 입주 의향이 47.5%에 달했고 집을 보유한 '자가' 가구의 경우에도 23.7%가 입주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뉴스테이에 보증부 월세로 거주한다고 가정 시 희망하는 임대료 보증금 수준은 '1억 5천만 원 이상'(32.2%), 월 임대료 수준은 '30만원∼50만원 미만'(48.8%)을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뉴스테이에서 제공이 가능한 주거서비스와 생활 편의시설에 대해서는 '피트니스 센터, 헬스장'(82.1%), '24시간 보안 서비스'(71.2%), '공부방, 문고 대여 등 북카페'(59.2%), '파출부, 청소, 소독 등 지원 서비스'(56.2%) 등의 순으로 이용할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국민 인식수준을 점검하고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된 이번 조사의 결과를 향후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활용해 중산층에게 꼭 필요한 기업형 임대주택의 공급을 늘려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