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아이 낳지 않겠다' 미혼남녀 늘고, 정부 출산 정책엔 '부정적'

반응형

듀오, 서울대 최인철 교수와 공동 조사

▲ 자료 : 듀오

결혼을 하고도 '아이를 낳지 않겠다'는 미혼남녀가 늘고 있다.

미혼남녀 2명중 1명은 정부의 '저출산 대책'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결혼정보회사 듀오와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최인철 교수가 공동 운영하는 듀오휴먼라이프연구소에서 '미혼남녀의 출산 인식'을 조사해 11일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62.6%는 결혼 후 2년 이내에 출산할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 후 '아이를 낳지 않겠다'는 응답은 17.8%를 차지했다. 이는 1년 전 조사 당시의 비율(14.4%)보다 3.4%p 늘어난 수치다. 

세 자녀 이상을 희망하는 경우는 25~29세(14.2%), 30~34세(9%), 35~39세(8.2%) 등 연령이 높아질수록 감소했다. 실제로 결혼 계획 연령과 희망 자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둘은 반비례 관계로 나타났다.

반면, 결혼 행복 기대감과 희망 자녀수는 정(+)의 관계였다. 혼인에 대한 기대감이 높을수록 희망하는 자녀수가 증가했고, 혼인 기대감이 낮으면 희망 자녀수도 줄었다. 

응답자의 68.3%는 저출산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다. 특히 국가의 출산 정책에 회의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현 정부의 저출산 정책이 출산 의지에 '부정적'이라는 답변은 남녀 각각 51.6%, 44.4%로 가장 많았다. 이어 '보통'(39.8%), '긍정적이다'(12.2%) 순이었다. 

저출산의 원인으로는 '일과 가정 양립의 어려움'(27.5%), '육아로 인한 경제적 부담'(26.7%), '결혼의 지연과 기피 의식'(19.1%), '사회와 미래에 대한 두려움'(10.6%), '실효성 없는 국가 출산 정책'(8.7%) 등이 꼽혔다.

남성은 효과적인 출산 장려 정책으로 '출산 지원'(29.3%)과 '보육 지원'(29.3%), '주거 지원'(14.9%), '결혼 지원'(13.1%) 등을 차례로 택했다. 여성은 '보육 지원'(33.7%), '출산 지원'(26.7%), '주거 지원'(10.6%), '경력 단절 예방 지원'(10%) 순으로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특히 여성의 경우 고학력일수록 '경력 단절 예방 지원'(고졸 이하 3.4%, 대졸 9.2%, 대학원졸 22.4%)에 대한 수요가 높게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미혼 과반수(72.4%)는 맞벌이를 선호했다. 연령이 낮을수록(25~29세 80.4%, 30~34세 72.8%, 35~39세 67.5%) 부부가 같이 벌기를 원했다.

대체로 고소득(5000만 이상 63.6%)보다는 저소득 그룹(2000만 미만 77.4%)일수록, 저학력(고졸 이하 64.6%)보다는 고학력 그룹(대학원졸 81.4%)일수록 맞벌이를 희망했다. 고학력 여성의 맞벌이 선호 경향(고졸 이하 59.3%, 대학원졸 82.8%)도 두드러졌다. 

결혼 후 부모와 함께 살길 원하는 남녀는 10명 중 1명(13.1%)에 불과했다. 부모와 동거하려는 이유는 '자녀로서의 의무'(33.6%), '자녀 양육 부담 해소'(26.7%), '가족 문화 습득'(13.7%), '생활비 절약'(13%) 등이 있었다.

듀오 박수경 대표는 "한국 출산율 하락은 기혼자의 낮은 출산 의지뿐 아니라, 미혼의 결혼 기피와 출산 거부감 등이 큰 요인"이라며 "출산 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업무와 삶의 균형, 경력단절문제 해결 등 다각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는 전국의 25세 이상, 39세 이하 미혼남녀 1000명(남성 502명, 여성 498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10일부터 11월21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