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네이트' 품은 SK텔레콤 "SK컴즈 기존 사업은 변화 없이 추진"

반응형
▲ SK텔레콤 로고.

포털 사이트 '네이트'를 운영하는 SK커뮤니케이션즈를 SK텔레콤이 완전 자회사로 편입했다. SK텔레콤은 SK커뮤니케이션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한 뒤 생활 플랫폼 사업과 시너지를 제고한다는 전략이다.

SK텔레콤과 SK커뮤니케이션즈는 24일 각각 이사회를 개최하고, 포괄적 주식 교환을 통한 SK커뮤니케이션즈의 SK텔레콤 완전자회사 편입을 결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이사회 결의에 따라 SK텔레콤은 현재 보유지분 64.54% 이외 잔여 지분을 전량 취득해 SK커뮤니케이션즈를 완전자회사로 편입시키게 된다.

SK텔레콤과 SK커뮤니케이션즈의 주식 교환 비율은 1:0.0125970로, 소액주주의 보유 지분 전량이 현금으로 교환되며 교환가격은 1 주당 2814원이다.

이를 원하지 않는 SK커뮤니케이션즈 주주는 내달 20일부터 2017년 1월 3일까지 반대의사 접수에 응한 후 2017년 1월 4일부터 1월 24일까지 1주당 2956원에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이번 주식교환이 2017년 1월 SK텔레콤 이사회 및 SK커뮤니케이션즈 주주총회에서 최종 승인되면, 2017년 2월 주식교환이 종료된 이후 SK커뮤니케이션즈는 상장폐지 수순을 밟게 된다. 

포털 사이트 '네이트'를 운영하는 SK커뮤니케이션즈는 당초 SK텔레콤의 증손회사였다가 지난해 9월 자회사로 편입됐다. SK커뮤니케이션즈는 소셜미디어 '싸이월드' 인기가 추락한 뒤 매출도 급락해 적자를 기록한 상태다.

SK텔레콤이 SK커뮤니케이션즈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한 것도 좀더 신속하게 적자를 줄이고 신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SK커뮤니케이션즈 완전자회사 편입을 통해 좀 더 적자를 줄이고, 빠른 의사결정 속도로 신사업 추진에 힘을 쏟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증시에서 관리종목 지정 위기에 몰린 것에 선제대응하기 위한 측면도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SK커뮤니케이션즈는 4년 연속 적자를 기록중이다. 4분기까지 적자를 기록할 경우 5년 연속 적자로 상장 폐지 대상이었다.

이에 따라 SK커뮤니케이션즈를 품고, 검색 포털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강화한 SK텔레콤의 차세대 플랫폼 전략은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은 " '차세대 플랫폼 컴퍼니'로 성장 방향성을 설정하고, 기존의 통신 사업 이외에 플랫폼 사업을 통해 기업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하고 있다"며 "네이트 포털, 싸이월드 등 천만 단위 고객 대상의 서비스 운영 경험을 보유한 SK커뮤니케이션즈의 사업 역량을 활용해 차세대 플랫폼 사업 추진을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기존 사업은 변화 없이 그대로 추진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기존 사업뿐만 아니라 경영진이나 인원에도 변화 없이 그대로 갈 것"이라고 귀뜸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