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박원순 "청년, 기본소득 월30만원·일자리 50만개 확대"

반응형
▲ 박원순 서울시장이 지난 24일 오후 청주시 서원구 대학가에서 열린 '청년토크쇼'에 참석해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야권 대선주자 중 한 명인 박원순 서울시장은 25일 청년기본소득을 최장 4년간 월 30만원을 지급하고 공공부문 청년 일자리를 10년간 50만개 늘리겠다는 내용의 대선공약을 제시했다. 

박 시장은 이날 서울 NPO센터에서 열린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사회적 투자' 간담회에서 "청년들이 첫 직장을 잡을 때까지 디딤돌로 최대 3년간 월 30만원을 지급하겠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청년기본소득의 예상 비용인 2조 6000억원은 재정·조세·공공부문 개혁으로 연평균 54억 4000억원의 재원을 확보에 그 일부로 충당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박 시장은 정부·공공기관·서비스공단 등의 새로운 일자리를 청년에게 우선 제공해 연 5만개씩 만들겠다면서, "공무원과 공공기관 청년 일자리를 10년간 50만개 늘리겠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특히 공공부문 고용비중이 낮아 공공서비스 혜택이 국민에게 제대로 돌아가지 않음을 지적하면서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전국적으로 확대해 청년실업을 개선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박 시장은 "중앙과 지방 공공기관 청년고용 비율을 올리면 1만 5105명, 300명 이상 대기업에 적용하면 14만 3481명 신규 고용이 창출된다"면서, "공공기관 청년고용 비율을 5%로 높이고 민간대기업으로 확산시키겠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또한 청년 주거빈곤 해소를 위해 2022년까지 월 임대료 20만∼30만원 쉐어하우스 10만가구를 공급하고, 청년 특별주거급여제도를 신설하겠다고 밝혔으며, 청년 빚 부담을 덜기 위해 ▲국공립대 반값 등록금 실현 ▲반값 등록금 사립대 확대 ▲대학 입학금 폐지 등을 주장했다. 

통신비·교통비 청년 할인제와 아르바이트 불법 근절, 청년 창업 종합 지원도 제시했다. 박 시장은 "주로 청년수당만 알려졌지만, 서울시는 일자리, 살자리 등 종합 청년보장정책을 해왔다"며 "가장 시급한 민생대책이자 미래를 위한 사회적 투자인 청년정책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