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미국 실리콘 밸리 소재 인공지능(AI) 플랫폼 개발 기업 '비브 랩스'(이하 비브)를 인수한다.
비브의 인공지능 플랫폼은 외부 서비스 제공자들이 자유롭게 참여해 각자의 서비스를 자연어 기반의 인공지능 인터페이스에 연결할 수 있다는 게 특징으로 꼽힌다.
삼성전자는 사용자에게 하나의 인공지능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와 디바이스에 접근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강화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이인종 부사장은 "비브는 한층 진화된 개방형 서비스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자연어 인식과 머신 러닝 기능, 전략적 파트너십을 보유하고 있다"며 "소비자와 서비스 제공자를 모두 염두에 두고 개발된 비브의 플랫폼은 삼성전자의 모든 기기와 서비스를 통합하는 생태계 조성에 적합하다는 판단이다"고 밝혔다.
최근 인공지능 기술이 주목을 받으면서 개개인의 일상생활에 자연스럽게 적용할 수 있는 대화형, 사용자 맞춤형 기술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를 위해 개발된 비브의 플랫폼은 인공지능 기술을 보유하지 않은 서비스 제공자들도 자신의 서비스를 비브의 플랫폼에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고 부연했다.
특히 비브의 플랫폼에 연결된 서비스들은 각각 따로 동작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의 의도를 분석해 유기적인 결합을 통한 서비스가 제공된다는 점도 매력으로 꼽힌다.
또 사용자들이 플랫폼에 연결된 서비스를 사용하면 할수록 플랫폼은 스스로 진화해 사용자에게 더욱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전망이다.
비브도 삼성전자의 글로벌 역량과 재정적 지원 등을 통해 비즈니스를 확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다만 비브는 앞으로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와 긴밀히 협업하면서 현재의 경영진에 의해 독자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비브의 공동 설립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다그 키틀로스는 "소비자들이 어떤 장소에서 어떤 기기를 사용하든 쉽고 빠르게 원하는 바를 얻게 하는 것이 우리가 추구하는 미래다"며 "삼성전자의 다양한 기기들의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에 단일화된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전달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고 밝혔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차 태풍피해 복구 안간힘…침수 차량 피해 정도 따라 처리방안 논의 (0) | 2016.10.07 |
---|---|
글로벌 4각 생산체제 완성한 LG화학 "글로벌 톱 위상 높인다" (0) | 2016.10.07 |
네이버, 한글날 맞이 다양한 프로젝트 진행 (0) | 2016.10.07 |
철강협회, 아세안 6개국 철강업계 리더 초청…투자확대 등 협력 활동 강화 (0) | 2016.10.07 |
귀뚜라미, 태풍 피해 울산에 '보일러 피해복구팀' 꾸려 (0) | 2016.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