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의 25일 파나마행 출장을 두고 도피성 외유 논란이 제기됐다. 사진은 지난달 3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는 강 장관의 모습./뉴시스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이번에도 역시 컨트롤타워는 없었다. 명확한 설명 없이 최선을 다했다는 말만 반복할 뿐이다. 일이 생기면 일단 뒷짐 지기 바쁘다. 도피성 해외출장은 우연을 가장한 필연이다. 영남권 신공항 건설이 백지화된 이후 정부의 대처가 또 다시 도마에 올랐다.
21일 국토부에 따르면 강호인 장관은 오는 25일부터 일주일간 해외 출장을 떠난다. 명목상은 오는 26일(현지시간) 예정된 '파나마 운하 확장 개통식' 참석이 이유지만 신공항 백지화 후폭풍을 회피하기위한 꼼수라는 지적이 나온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날 "파나마 운하 개통 기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출국하는 것"이라면서 "각국 장관들이 모이는 자리"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파나마 운하 확장 문제는 부산항, 해운업계와 밀접한 관련 있다는 점에서 해양수산부 장관이 참석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토부 장관의 참석은 외교적 결례로, 신공항 백지화 논란을 피하기 위해 무리한 일정을 잡은 게 아니냐는 것이다.
실제 국토부에 따르면 강 장관은 개통식에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참석한다. 박근혜 대통령이 신공항 백지화 후폭풍을 피할 수 있도록 배려해준 게 아니냐는 관측이다.
청와대는 줄곧 "신공항은 경제성이 있다고 해서 추진하는 것이고, 입지 선정은 관련 지방자치단체가 협의해 외국기관에 용역을 맡긴 것"이라며 '불개입' 원칙을 고수했다. 이에 따라 담당 부처인 국토부는 그간 신공항 입지 선정과 관련해 모든 화살을 받아왔다. 이 때문에 그간 논란에 시달려온 강 장관에게 입지선정 백지화 후폭풍은 피할 수 있도록 하지 않았겠냐는 관측이다.
신공항 건설이 또 다시 백지화되면서 정부의 대처가 영남권의 분열만 불렀다는 비판도 나온다. 신공항 백지화에 대한 정치권과 지자체의 반발도 극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영남권 신공항 건설이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다는 점에서 박 대통령을 향한 비판도 거세질 전망이다.
하지만 청와대가 그간 신공항 문제에 선을 그어온 것을 감안하면 강 장관의 부재는 국내에 이 문제를 봉합할 컨트롤타워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피성 외유라는 지적도 이 지점에서 나온다. 국토부의 역할이 입지선정 과정보다 백지화 이후 대응 과정이 더 중요하다는 얘기가 나오는 까닭이다.
강 장관의 일주일 부재가 신공항 백지화 여파를 가속화시키고 영남권 여론을 악화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할 거라는 우려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자부 "화성시는 1600억원 더 받고 부천시는 400억원 덜 받아" (0) | 2016.06.22 |
---|---|
김해공항 확장 개발사업 향후 후속조치는? (0) | 2016.06.22 |
금천-강남 30분 단축, 다음달 '강남순환로' 개통 (0) | 2016.06.21 |
서울시, 빅데이터 통한 도로함몰 예방 시스템 구축 (0) | 2016.06.21 |
손끝으로 만나는 정부, 정부 3.0국민체험 마당 가보니 (0) | 2016.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