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빚어진 정치 혼란이 경제계뿐만 아니라 전체 나라로 확대되면서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모든 분야가 '시계제로' 상태에 빠졌다.
특히 기업들은 10월부터 내년도 사업계획 수립 및 조직개편 등 2017년을 대비한 준비작업에 착수해야 하지만 총수들까지 검찰 조사·국회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등에 불려가고 있어 업무가 사실상 정지상태가 됐다.
세계 11위 규모를 자랑하던 대한민국 경제 엔진이 '최순실 게이트' 후폭풍으로 사실상 멈춘 것이다.
재계는 각 그룹 총수들이 줄줄이 국회에 소환될 예정이어서 초긴장상태다. '박근혜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가 청문회 첫째 날인 12월 5일에 8대 기업 총수를 대거 증인으로 소환한 것. 8대 그룹 총수는 박근혜 대통령이 창조경제혁신센터에 지원한 17개 대기업 총수들과 오찬 간담회를 한 지난해 7월 24일 전후로 박 대통령과 단독 면담을 나눴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최태원 SK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손경식 CJ 회장이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청문회 첫날이 언론의 주목을 가장 많이 받는데, 기업 총수들을 첫째 날에 불렀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 파악 중"이라며 "검찰 조사에 이어 청문회까지 준비하고 있어 기업 수뇌부의 피로감이 극에 달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은 삼성그룹의 지주회사 전환으로 이어진 만큼 경영권 승계에서 중요한 과정이었다. 만약 삼성이 청와대에 이와 관련한 도움을 요청하고 이것이 국민연금의 행동에 영향을 끼쳤다면 제3자 뇌물수수에 해당한다는 분석이다.
공직사회도 업무에 엄청난 차질을 빚고 있기는 마찬가지다. 정부세종청사에서 근무하는 공무원들 사이에선 최근 상황과 관련해 자괴감을 느낀다는 이들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지난 22일 국무회의에서 박원순 서울시장이 국무위원들의 총사퇴를 주장하며 장관들과 설전을 벌인 것도 이런 심정을 더하게 만들어주고 있다.
최순실 게이트와 직접적으로 연루된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부는 끊임 없이 제기되는 의혹에 대응하느라 다른 업무를 보기 힘들 정도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농림축산식품부 등도 언론에 관련 의혹 기사들이 보도될 때마다 적극 해명하느라 진땀을 빼고 있다. 지금까지 거론 안된 부처도 행여나 관련된 의혹이 제기될까 가슴을 졸이고 있는 모습이다.
공공기관 인사도 최순실 사태로 올스톱 상태다. 임기가 끝났는데 후임을 정하지 못해 업무를 계속보고 있는 기관장이 20여 명에 달한다. 비어있는 자리도 채우지 못하고 있는 기관들도 많다.
국정 운영이 연일 파행되고 있는 마당에 대통령이 기관장 인사까지 챙기기가 쉽지 않아 이같은 공백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마블 '모두의마블' 저작권 소송 휘말려 (0) | 2016.11.24 |
---|---|
'최순실 게이트' 유탄 맞은 마사회, 정치권과 진위 놓고 줄다리기 (0) | 2016.11.24 |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공식 발효 "2급이하 軍비밀 직접 공유"..野 반발 거세 (0) | 2016.11.24 |
개성공단 정상화ㆍ남북경협 복원 염원 '장례식' 거행 (0) | 2016.11.23 |
與, 줄줄이 탈당...'제3지대'서 새로운 여당 꿈꾸나 (0) | 2016.11.23 |